교육실험실21의 연구, 교육, 활동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활동


교육실험실21의 연구, 교육, 활동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거꾸로캠퍼스 이야기거캐머들은 기후위기를 어떻게 대응할까? (2023년 3모듈 주제 - 기후위기와 정책)

Gschool
2023-08-22
조회수 1409



거캐머들은 기후위기를 어떻게 대응할까? (2023년 3모듈 주제 - 기후위기와 정책)



글 : 거꾸로캠퍼스 대표(헤드티처) 쩜백



기후위기는 현실이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기후변화는 ‘북극곰 살리기’, ‘다음 세대를 위한 일’이었다. 조금 이기적으로 생각하면 나와는 아무 관련 없는, 먼 곳에서 또는 먼 미래에 일어날 일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2023년 현재,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기후변화는 이제 기후위기라는 말로 불리우고 있고, 북극곰을 살리는 것, 다음 세대를 위한 일이 아니라 당장 나의 생사나 건강, 삶의 질을 좌우하는 문제가 되었다. 해수면의 급격한 온도 상승으로 태풍은 그 어느때보다 많이, 그리고 훨씬 강력하게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해가 갈수록 더 극심해지는 폭염은 더 길고 더 강하게 우리를 괴롭힌다. 폭염으로 인한 산불로 지구 곳곳이 불타고 있기도 하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해안 저지대는 침수되고, 해안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은 위협받고 있다. 파괴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는 말할 것도 없다. 먼 미래에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던 일들이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현실이 되어 우리 삶의 위기를 가져오고 있다.   


‘다음은 두 시장 후보의 공약입니다. 두 후보 중 어떤 후보에게 표를 던지시겠습니까?’ 


  • 기호1 : 누구나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심 상습 정체 구역 해소를 위해 도로를 확충하고, 도심의 주차장 대폭 확대로 주차난을 해결하겠습니다. 


  • 기호2 : 자동차보다 자전거가 편안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심의 자동차 도로는 1~2개 차선만 남기고, 도로의 나머지는 자전거 도로로 조성하며, 도심의 주차장을 없애고, 녹지를 조성하겠습니다.  


이번 모듈 주제중심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학생들에게 던진 질문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은 어떤 후보에게 투표하겠는가? 기호1번의 공약은 우리가 과거에, 그리고 지금도 흔하게 볼 수 있는 도시민들의 자동차 이용 편의를 위한 공약이다. 하지만 기호2번의 공약은 생소하다. 아마도 기호2번이 당선된다면 도심의 교통정체는 극심해질 것이고, 주차난 역시 더욱 심화될 것이다. 자동차 중심으로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는 엄청난 불편함이다. 인간의 기존 삶의 방식을 생각해본다면 말도 안되는 공약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제로 프랑스 파리에서는 기호2번과 같은 공약을 내 건 후보가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그들은 인간과 도시가 기존의 방식대로 그대로 살아간다면, 지금의 기후변화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근본적인 삶의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기후위기에 결코 대응할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학생들에게 실제로 이 주제를 가지고 팀 내에서 토론을 하도록 했고, 토론 후 시장 선거를 해보았다. 결과는 5:5였다. 기호1번을 선택한 학생들은 아직은 편안함을 포기할 수 없고, 기호2번의 공약은 너무 비현실적이라는 의견이었다. 반면, 기호2번을 선택한 학생은 내가 사는 곳을 생각해본다면 도로가 줄어드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고,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정책이라는 의견이었다. 삶의 방식을 바꾼다는 것, 편리함을 포기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하지만 기존 삶의 방식의 결과가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면, 불편함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번 모듈(2023년 3모듈) 거꾸로캠퍼스 기본교육과정인 혜화랩의 모듈주제는 ‘기후위기와 정책’이다. 기후위기와 인간의 삶, 그리고 그와 관련된 정책 등을 학습하며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위기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는 수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학생들이 찾게 될 소주제는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의 관심 또는 호기심 있는 ‘정책분야’별 ‘기후위기 정책’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질문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내가 살고 있는 지역’, ‘관심 또는 호기심 있는 정책 분야’라는 것은 결국, 학생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만들어 낸 정책은 실제 제안하여 실현될 수 있도록 참여하는 노력까지 진행할 예정이다. 


이번 모듈 수업을 진행하며, 기후위기에는 어떤 것들이 그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어 있는지 깊이 있게 들여다 볼 예정이다. 학생들이 기후위기를 피상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그 이면에 있는 깊은 연결성을 통합적으로 바라보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기후위기의 원인에 대해서는 대응 정책을, 기후위기로 인한 변화에 대해서는 적응 정책을 생각해보게 될 것이다. 

청소년들은 우리의 삶의 방식 중 어떤 것이 기후위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삶의 방식을 정책을 통해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이번 모듈이 끝날 때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치열한 고민의 결과를 기대해봐도 좋겠다.  


※ 거꾸로캠퍼스의 주제중심 모듈 수업은 전 인류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인 UN-SDGs(지속가능발전목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모듈별 교과 수업은 17개의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하나의 주제를 선정하여 융합 수업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수업은 강의 없이, 거꾸로 교실 수업 방법을 기반으로 한 학생 참여 중심 수업,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전체 모듈 주제의 범위 내에서 팀만의 소주제를 선정하여 소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관련된 탐구와 실천을 주도적으로 수행한다.





0 0

 사)교육실험실21

대표이사 이정백  

                            주소 [03086]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메일 contact@gschool.kr    

전화 02-742-0077


(사) 교육실험실21     

대표이사 이정백     

메일 contact@gschool.kr     전화 02-742-0077        사업자등록번호 489-82-00285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공공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