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실험실21의 연구, 교육, 활동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활동


교육실험실21의 연구, 교육, 활동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거꾸로캠퍼스 이야기부트캠프 PART2. 심층적 공감을 위한 인터뷰

Gschool
2023-05-23
조회수 1535


코레터_부트캠프 PART2. 심층적 공감을 위한 인터뷰

안녕하세요, 거꾸로캠퍼스 신규코치 단테입니다.
오늘은 지난 뉴스레터에 이어 부트캠프 미니프로젝트 2탄, Part2. [심층적 공감을 위한 인터뷰] 입니다.


진정한 공감이란 무엇일까요?
그 사람이 되어보는 것, 그 사람을 관찰하는 것, 그리고 그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공감인터뷰를 위해 어떤 질문을 할까요? 

거캐머 재학생의 옴니버스 프로젝트 사례를 통해 인터뷰의 case study를 진행했습니다.

->


Q. 누구와 인터뷰 했을까?

Q. 어떤 질문을 했을까?


옴니버스가 되어 누구를 만나고 어떤 질문을 했을지 고민하면서, 질문 디자인 연습을 진행했습니다.

[Part2. 심층적 공감을 위한 인터뷰]
자, 그러면 이제 미니 프로젝트를 진행해 봐야겠죠?

2번째 미니프로젝트 주제는 아래의 보기 중에 선택해서 진행했습니다.
- 신입생의 원활한 거꾸로캠퍼스 적응
- 거꾸로캠퍼스 공간개선
- 문제탐색(문제정의) 프로젝트
- 개인주제 프로젝트



인터뷰 체크리스트를 통해 인터뷰 사전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1. 인터뷰 목표 세우기
2. 인터뷰 대상자 선정하기
3. 질문지 작성하기
4. 인터뷰 시 역할 정하기
5. 섭외하기


특히, 인터뷰 질문을 발산하고 꼭 질문해야 하는 핵심질문을 선정했습니다.

(간혹 만든 질문을 모두 해야한다는 강박에 쫓겨 답변에 집중하지 못하는 우리를 발견할 때가 있죠? 조급해하는 질문자를 보면 답변하는 사람도 긴장해서 진솔한 답변을 하기 힘듭니다. 필요한 핵심질문, 그리고 팔로업 질문으로 인터뷰를 진행해볼게요.)


이튿날, 대상자에 해당하는 거캐머를 테이블에 모셔 공감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인터뷰를 하면서 우리가 만든 질문에 대한 성찰도 같이 들었을 거예요.

(아, 답변하기 어렵겠구나. 닫힌 질문이구 나. 잉? 이 질문은 왜 만들었지?)
이렇게 한 번 인터뷰를 경험하면서 다음 인터뷰에 성장할 수 있겠죠?

이제 인터뷰를 기반으로 문제정의를 만들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을 만들었습니다.


- 신입생을 위한 넘버스 기본 사용 튜토리얼!
- 모듈 초 전교생의 별명 외우기가 어려운 거캐머를 위한 거캠명함!
- 개인주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어려운 신입생을 위한 ‘개주프 전용 부트캠프’


등 다양한 문제정의와 프로토타입이 만들어졌는데요. 이쯤에서 거꾸로캠퍼스의 자랑!
신입생-재학생-코칭 간 상호피드백을 안 받아볼 수 없겠죠?

“신입생이 이렇게 체계적으로 프로젝트를 경험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는 것이 놀랍다.”
“아직 디테일한 부분이 아쉬운 점이 보이지만, 내가 신입생일 때랑 비교해보자면 대단하다.”
“잘 경험해서, 문제정의 프로젝트에 녹여낼 수 있으면 좋겠다.”

의 재학생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부트캠프 미니프로젝트의 과정 회고]
프로젝트에 빼놓을 수 없는 ‘회고’로 갈무리 지었습니다.
1. 프로젝트 과정(프로세스)에 대한 회고
2. 팀 커뮤니케이션과 그라운드 룰
3. 개인 스스로의 참여도와 기여도


로 나눠서 프로젝트를 돌아봤어요. 물론 아직 ‘회고, 왜 하는거죠?’라며 크게 필요성을 못 느끼는 학생들도 있었지만, 회고와 성찰을 통해 우리 경험한 과정을 되돌아보며 학습하고 부족한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렇다면 미니프로젝트로 모듈을 보낸 부트캠프 신입생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 간접 경험이나마 프로젝트를 이렇게 하는구나 알게 됐다.

- 너무 빨랐다. 깊이 고민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다.
- 재학생은 어떤 과정을 겪었는지 궁금하다.
- 내 것으로 만들고 싶다.

등의 미니프로젝트에서 좋았던 것, 아쉬운 것, 더 배우고 성장하고 싶은 부분을 공유할 수 있었습니다.

[I wish : 미니 프로젝트]
미니프로젝트 전반을 돌아보면, 프로젝트의 ‘프’자도 모르는 신입생들에게 프로젝트 경험을 실패해도 괜찮다는 안전지대를 선물하고자 했던 작은 목표는 달성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팀 빌딩에 대한 아쉬움도 있었어요.


미니 프로젝트를 빠르게 돌리다 보니, 팀원들과 친하다는 느낌보다 과제하는 느낌이 강하다는 의견이 종종 있었습니다. 특히, 오전 주제중심과정의 팀과 비교했을 때 친밀도나 관계 안정감이 달랐다는 의견이 많았습니다. 학생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이어지는 문제탐색 과정과 부트캠프에서는 팀 안에서 서로 알아가는 시간의 가져보려 합니다.

자, 여기까지 두 편으로 전해드린 
미니프로젝트로 변화한 부트캠프, 어떠셨나요?

이번 변화가 완벽하고 최고의 과정은 아니었지만, 신입생들에게 거꾸로캠퍼스가 추구하는 프로젝트 베이스드 러닝(Project Based Learning, PBL)을 시작하기 위한 운동화 끈을 묶는 시작점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거꾸로캠퍼스의 다양한 교육실험과 성장은 앞으로도 계속됩니다. 코-레터를 통해 종종 전해드리는 거캐머의 걸음 걸음에 큰 격려와 응원 부탁드려요.(끝) 




1 0

 사)교육실험실21

대표이사 이정백  

                            주소 [03086]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메일 contact@gschool.kr    

전화 02-742-0077


(사) 교육실험실21     

대표이사 이정백     

메일 contact@gschool.kr     전화 02-742-0077        사업자등록번호 489-82-00285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공공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