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실험실21의 연구, 교육, 활동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활동


교육실험실21의 연구, 교육, 활동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획연재IB교육프로그램의 도입 : 기회와 도전(1)

Gschool
2023-10-11
조회수 3452

IB 교육프로그램의 도입 : 기회와 도전(1)

사진출처: IBO(https://www.ibo.org/programmes/diploma-programme/)

세계는 점점 더 글로벌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글로벌 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시각과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에 따라 교육 분야에서도 전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국제적인 시각과 학문적 기반을 제공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이다. 

현재 대구시교육청, 제주시교육청, 충남교육청에서 공교육 체제 안에서 IB 학교를 도입하여 운영중에 있으며, 경기도교육청과 서울시교육청에서도 각각 'IB 관심학교'와 'IB 탐색학교'를 선정하여 IB 도입을 위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인하대학교에서는 중등과정 IB 교원양성 프로그램을, 대구교대에서는 초등과정 IB 교원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IB교원양성 프로그램 개설하는 대학 기관은 점차 늘어날 예정이다. IB 디플로마(Diploma)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 중 국제학교나 외국인학교 학교가 아닌 곳은 총 6개교(경기외국어고등학교, 충남삼성고,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대국외국어고등학교, 대구 포산고등학교, 제주 표선고등학교)로 이중 표선고등학교는 학급 단위로 인증 받은 다른 학교들과는 달리 학교단위로 'IB월드스쿨'로 인증받았으며, 2024년도에는 국내 한국어화된 IB DP 이수자가 처음으로 대학에 진학하게 된다.

코레터(Co-Letter)에서는 이처럼 뜨거운 관심 속에 도입되고 있는 IB 프로그램이 우리 교육에 어떠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지, 또한 IB의 도입 또는 벤치마팅 과정에 어떤 도전 과제들이 기다리고 있을지에 대해 탐구해보고자 한다. 이번호에서는 IB프로그램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IB프로그램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호에서는 논란이 되고 있는 이슈들을 중심으로 IB프로그램의 도입을 '기회'와 '도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여러 논란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도입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는 배경에 대해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1. IB프로그램에 대한 소개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이하 IB) 프로그램'은 스위스에 본부를 두고 1968년 설립된 비영리교육재단인 IB본부(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에서 개발, 운영하는 국제 인증 학교 교육프로그램을 말한다.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인지하고 세계를 함께 지켜 나갈 책임을 다하는 국제적 소양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상을 향한 열린 자세와 서로 간의 깊은 상호 관계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고하고(thinking) 살아가며(being) 행동하는(acting) 방식을 포함하는 다면적인 개념'으로 '국제적 소양'을 설명하고 있다. IB가 추구하는 교육철학과 청소년들을 평생학습자로서 육성하고자 하는 교육가치는 아래의 'IB 학습자상'에 잘 표현되어 있다. 

학습자상의미
탐구하는 사람
(Inquirers)
호기심을 키워 탐구하고 연구하는 능력을 가지며, 다른 사람과 함께 배우는 법을 알고, 학습에 대한 열의를 잃지 않는 사람
지식이 풍부한 사람
(Knowledgeable)
개념적 이해를 통한 성장을 지향하며, 다양한 학문의 지식을 탐구하고, 지역적 세계적 사안과 의견에 관심을 기울이는 사람
사고하는 사람
(Thinkers)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문제를 분석하고 책임있게 행동하며, 합리적이고 윤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사람
소통하는 사람
(Communicators)
두개 이상의 언어와 다양한 방법으로 창의적이고 자신 있게 자신을 표현하며, 다른 사람과 집단의 의견을 경청하며 효과적으로 협력하는 사람
원칙을 지키는 사람
(Principled)
공정성과 정의감을 바탕으로 인간의 존엄성 및 권리를 존중하며, 성실하고 정직하게 행동하며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
열린 마음을 지닌 사람
(Open-minded)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고유의 문화와 역사를 바라보고 타인의 가치관과 전통을 수용하며, 경험을 통해 성장하는 사람
배려하는 사람
(Caring)
타인에 대한 공감과 존중을 바탕으로 봉사 정신을 갖고, 타인의 삶과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사람
도전하는 사람
(Risk-Takers)
철저하게 계획하고 의사결정을 내려 불확실성에 도전하며, 도전과 변화에 맞서 슬기롭게 대처하는 사람
균형 잡힌 사람
(Balanced)
자신과 타인의 행복을 위해 삶의 지적, 신체적, 정서적 균형의 중요함을 인식하고, 타인 뿐 아니라 세상과의 상호 의존성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
성찰하는 사람
(Reflective)
세상과 자기 생각 및 경험에 대해 깊게 생각하고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사람


IB프로그램은 학생의 발달단계와 고유한 특성에 맞춰 다음의 4단계로 구분된다.

프로그램명학교급대상연령주요 교육 내용
PYP
(Primary Years Programme)
유/초3~12세6가지 초학문적 주제('우리는 누구인가', '우리가 속한 공간과 시간', '우리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 '세상이 돌아가는 방식', '우리 자신을 조직하는 방식', '지구 공유하기')
MYP
(Middle Years Programme)
11~16세PYP에서 개발되고 심화된 6가지 초학문적 주제를 확대한 6가지 맥락
('자아와 관계', '개인적,문화적 표현', '시공간의 방향성', '과학과 기술의 혁신', '공정성과 발전', '세계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
DP
(Diploma Programme)
16~19세6개의 선택 과목(언어, 제2외국어, 개인과 사회, 자연과학, 수학, 예술)
3개의 핵심 요소(Extended Essay, TOK, CAS)
CP
(Career-related Programme)
고(직업)16~19세DP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CP의 직업 관련 수업과 연결하여 학습


4개의 IB프로그램은 공통적으로 개념적 학습(conceptual learmimg)을 권장하며, 학생들이 IB교육체계를 통해 새로운 지식을 이해하고, 전 교과군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에 초점을 맞추어 학문 간의 관계성을 탐구와 개별 교과 범위를 초월하여 다양한 과목을 통해 세상을 강조한다. 또한 실제 학습(authentic learing)을 통해 학습내용과 삶을 연결시킬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IB 프로그램의 특성은 교육과정 이수를 위한 프로그램별 최종 프로젝트에 잘 반영되어 있다. PYP에서는 '전시회(exhibition)'을 수행해야 하며, MYP에서는 '개인 및 공동체 프로젝트(personal or community project)'를, DP에서는 '소논문(extended essay)'을 그리고 CP에서는 '성찰 프로젝트(reflective project)'를 각각 수행해야 한다. 

한편 각각의 IB프로그램은 대상연령이나 주요 교육내용 뿐만 아니라 성격에서도 차이점을 보이며, 이러한 차이는 프로그램 개발과정과 목적에 기인한 바가 크다. 최초의 IB프로그램인 DP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대학 입학 자격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1968년에 시작되었다. 이후 만 3~19세 학생들을 위한 국제 수준의 연속적은 교육 프로그램 실현을 위해 1994년과 1997년에 각각 PYP와 MYP가 도입되었으며, 2012년에는 직업과 연계된 교육모델 개발의 필요성에 의해 CP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개발 과정과 개발 목적에 따라 PYP와 MYP는 커리큘럼이라기보다는 어떻게 가르치고 평가할지에 대한 프레임워크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각 나라의 국가교육과정에 따라 융통성 있는 교육콘텐츠 운영이 가능하며, 다만 무엇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한 평가 루브릭은 IBO에 기준에 따르게 된다. 

반면 DP의 경우 대학 진학을 위한 학력 인증이라는 초기의 목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따라서 교육과정의 성격을 보다 강하게 띠고 있다. 학생들은 6개의 선택 과목중 심화과정(Higher Level) 3개와 기본과정 (Stadard level) 3개를 선택하여 수강하며, DP과정 수료를 위해 3개의 핵심 요소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첫번째 핵심요소는 소논문(Extended Essay, EE)으로 학생들은 각자가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와 추론을 통해 6개의 선택과목과 관련하여 4,000단어 미만의 에세이를 작성해야 한다. 둘째 요소인 지식 이론(Theory of Knowledge, TOK)은 지식의 본질에 대한 탐구와 비판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강조하는 것으로 프레젠이션과 1,600단어의 에세이를 평가 대상으로 한다. 세번째 핵심요소인 봉사 및 교외 활동(Creativity, Activity, Service, CAS)는 학생들이 책임감을 기르고, 사회적, 창의적, 실용적 능력을 발전시키며, 공감을 가지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는 것으로 지역 사회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젝트에 일정 시간 이상 참여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2. IB프로그램의 특징

IB프로그램은 '국제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교수 방법과 학습 접근 방법 그리고 평가방법에서 독특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교수 학습 접근 방법 및 평가 방법은 IB월드스쿨의 교사와 학생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하며, IB 교육 목적을 교실에 적용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1) IB 교수 접근방법(Approachesto Teaching, ATT)

IB 교수 접근방법은 질문하기, 행동하기, 성찰하기(inqury, action, and reflection)을 순환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중심을 두고 있으며, 교사와 학생의 협력적인 관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교실에 적용되고 있다. 모든 IB프로그램은 교사들이 각자 선호하는 교수법을 학생들의 요구와 상황에 맞춰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교수법은 다음의 수업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수업 원리내용
탐구에 기반학생들 스스로 정보를 수집하고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둠
개념적 이해의 강조학생들 스스로 다양한 개념을 탐구하여 학문적 이해를 넓히고, 개념의 연관성을 찾아 새로운 맥락에 적용하여 전이학습이 일어나도록 함
지역과 세계적 맥락에 연결실생활 사례와 맥락을 활용하여 학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과 주변 세계와 연관 지어 새로운 지식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함 
효과적인 팀워크와 협력의 강조학생 간 팀워크 및 협력을 강조함과 동시에 교사 학생간의 협력적인 관계를 강조함
경계 요소를 제거다양성을 포용하고 존중하며,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정체성과 개별 학습 요구에 따른 각자의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학습 기회를 제공함 
평가 정보의 활용학습을 장려하고 학습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피드백을 제공함


2) IB 학습 접근 방법(Approaches to Learning, ATL)

IB 학습 접근 방법의 핵심은 '학습하는 법을 배우는 것(learning how to learn)'에 있다. 평생학습자로서 좋은 질문을 하고, 효과적인 목표를 세우며, 용기를 잃지 않고 꿈을 실현해 나아갈 수 있도록 서로 연관된 5가지 역량을 키우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IB프로그램에서 강조하고 있는 5가지 역량은 다음과 같다.

역량하위 영역 예시
사고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윤리적 사고력 등
조사정보의 비교 및 대조, 우선순위 설정 등
의사소통글쓰기, 말하기, 효과적인 경청(effective listening), 논쟁을 구성하는 능력 등
대인관계긍정적인 관계 형성 및 유지,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관계의 맥락을 파악, 갈등 관리 등
자기관리과제 관리, 시간 관리, 정서 관리, 성찰 등


이와 같은 역량은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하며, 학습을 능동적인 과정으로 받아드릴 수 있도록 하는데 중요하다. 또한 학생들을 적극적이고 서로를 격려할 줄 아는 평생학습자로 양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의 표에서는 5가지의 역량을 구별지어 제시하였지만 모든 학습 접근 방법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고 중복된 개념이다.

3) IB 평가 방법

모든 IB프로그램은 IBO에서 검증된 평가방법을 활용한다. 이러한 평가체계는 타당성과 신뢰성을 바탕으로 단순 암기력을 바탕으로 한 지식이나 이해 등의 저차원적 사고보다는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창조 등과 같은 고차원적 사고 역량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IB 평가의 특징은 국내 IB인증학교 등에서 출제된 다음의 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러분이 공부한 작품 중 적어도 두 작품을 참조하여 아름다운 가치와 태도가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논하시오.(언어)
"외세의 영향이 20세기 내전의 결과를 결정했다" 두 개의 전쟁을 제시하여 이 내용을 논하시오.(역사)
문화의 날 행사를 개최한 후 후기를 영어 400단어 이내의 분량으로 쓰시오.(영어) 


IB 평가의 특징은 고차원적 사고 측정이라는 평가 내용 뿐만 아니라 '교차채점제'라는 방식에서도 나타난다. IBDP에서는 1차적으로 담당교사가 내부평가를 실시하지만, 이 자료는 지역 본부로 보내져 외부 채점관에 의해 검토를 거치는 방식의 '교차채점제'가 시행된다. 뿐만 아니라 지역 본부에서 진행되는 외부 채점의 경우 1차 채점관, 2차 채점관이 별도로 있어 객관성 유지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지역 본부로 보내진 자료 중 일부는 국제 본부로 다시 보내져서 최종 검토를 거치게 되어 있어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이중 삼중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난 50년간 전 세계 대학으로부터 신뢰를 얻을 수 있었던 밑바탕이 되고 있다.


3. 나가며

지금까지 IB프로그램에 대해 대략적으로 소개하고, 교수방법, 학습방법, 평가방법으로 구분하여 특징을 살펴보았다. 다음 호에서는 살펴본 IB프로그램의 특징을 바탕으로 현재 논의되고 있는 IB프로그램 도입이 가지는 도전과 기회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미래교육의 관점에서 IB프로그램을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1 0

 사)교육실험실21

대표이사 이정백  

                            주소 [03086]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메일 contact@gschool.kr    

전화 02-742-0077


(사) 교육실험실21     

대표이사 이정백     

메일 contact@gschool.kr     전화 02-742-0077        사업자등록번호 489-82-00285

주소 [03086]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공공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