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우: 그럼요. 통계와 관련된 수업을 들었을 때 저희가 설문조사를 직접 만들어서 학생 대상으로 조사했어요(무우는 위의 사진과 같이 구글독스를 통해 Z세대의 은행 이용 통계를 조사했습니다. 통계 포스터를 보고 싶다면 아래 '인터뷰 전문 읽기'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설문 조사를 어떻게 할지, 질문은 어떤 방식으로 배치해야 할지, 효과적인 질문은 무엇일지 스스로 고민하고 판단해야 했어요. 또 마지막 과제로 직접 통계 자료 포스터를 만드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 과정 속에서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어떤 문제가 있을지 스스로 사전조사를 해야했죠. 모든 문제를 혼자 해결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지만, 결과물을 보면 굉장히 뿌듯하고 재밌는 활동으로 기억에 남아있어요.
아톰: 저도 마찬가지에요. 지난 수업 중에 정치와 관련된 뉴스 3개를 단테가 제시했어요. 그 중 가짜 뉴스가 무엇인지 직접 찾아보라고 했는데 단순하게 내용만 본다고 해서 알 수 있는 게 아니더라구요. 어떤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서 조사를 했고, 통계 해석에 오류는 없었는지 일일이 찾아봐야 했어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잘못 해석된 통계를 찾게 됐고 직접 부딪힐 수 있었던 기회를 가졌던 것 같습니다.
지난 학기 주제와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고 싶어요. 사실 수학은 정치와 접목되기 힘든 과목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잖아요. 두 사람도 그런 생각을 가지진 않았나요?
무우: 제가 그런 생각이 강했어요. 처음에 정치와 선거라는 대주제로 수업을 한다고 했을 때 다른 과목은 예측 가능했어요. 그런데 수학은 전혀 예상이 안되는 거예요. 과연 수학과 정치가 연관되는 게 있을까? 라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이에요. 단테와 수업을 들으면서 제 생각이 엄청 편협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정치의 모든 영역에 통계가 들어가지 않는 분야가 없었어요. 그리고 통계는 수학의 중요한 한 분야였구요. 직접 정치적 통계를 찾고, 그래프를 만들면서 ‘정치와 수학이 이렇게 밀접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그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사례가 있었을까요? 👀
무우: 지난 학기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었어요. 단테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알려줬는데, 굉장히 복잡한 수식으로 투표 결과가 산출되는 거예요. 처음에는 선거 제도에 왜 저런 수식이 들어가는지 의문 투성이였어요. 그러다가 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탄생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국회의원을 선출하는지 설명을 듣고나서야 비로소 수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어요. 아직도 완벽하게 수식을 이해하진 못했지만, 어떤 방식으로 계산이 이뤄지는지 이해할 수 있어서 인상 깊었던 것 같아요.
아톰: 저는 통계 하나로 정치적 사안이 첨예하게 갈릴 수 있다는 걸 많이 느꼈어요. 똑같은 통계를 가지고 정치적으로 전혀 다른 해석을 하는 언론 기사를 많이 접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의 통계이지만 언론, 정치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만을 위해서 입맛대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됐죠. 그 전에는 통계, 수치에 대해서 보이는대로 믿기만 했거든요.
두 분은 단테의 수업 이후에 일상생활에서 통계, 평균의 함정을 많이 접하거나 느낄 수 있었나요? 혹은 각자의 생각이 변화한 부분들이 있을까요? 🧑🏫
무우: 솔직히 얘기하면 통계, 평균의 함정에 관한 수업을 이해하는 게 조금 어려웠어요. 원래는 통계를 있는 그대로 믿었거든요. 단테 수업을 듣고 나서 통계를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서 다른 문제 인식을 가질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문제는 그 이후로 통계를 단순하게 바라보기 어려워졌어요. 이 통계는 진실일까? 아니면 거짓일까? 그리고 내가 진실이라고 판단을 내린 통계도 거짓이지는 않을까?와 같은 혼란이 제 머릿속에 가득했어요. 통계의 함정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숫자를 바라보는 힘을 기르는 건 좋았지만, 정확하게 통계의 함정을 파악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훈련은 더 필요한 것 같아요.
아톰: 저는 언론 기사를 접할 때 무조건 내용을 믿지 않는 버릇이 생겼어요. 언제든 기자들이 자기 입맛대로 해석을 바꿀 수 있잖아요. 단테 수업을 통해서 그런 사례를 정말 많이 접했거든요. 언론에서 알려주는 통계를 곧바로 믿지 않는 습관이 생겼는데, 저는 좋은 습관이 생겼다고 생각해요. 언론과 뉴스에 의해서 휘둘리고 싶지 않거든요. 실제 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싶은데 그런 힘을 가지게 된 것 같아요.
많은 학생들이 수학을 지루하고 딱딱하게 느끼고 있습니다. 아톰과 무우도 마찬가지였죠. 그런 수학 과목을 즐겁게 경험할 수 있었던 아톰, 무우의 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문제 풀이가 아닌, 실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단테의 수학 수업을 통해 통계의 중요성을 배운 두 거캐머의 얘기를 읽어봐 주세요!(아톰과 무우를 가르친 단테의 수학 수업 이야기는 여기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톰과 무우의 수학 공포 극복기
해리(이하 생략): 두 분 자기소개 부탁드려도 될까요?
아톰: 안녕하세요 저는 아톰입니다! 24년 1학기에 신입생으로 거캠에 들어오게 되었고, 현재 니트 문제를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무우: 안녕하세요, 저는 무우입니다. 지난 24년 1학기에 거캠에 입학해서 8개월동안 거캠의 철학과 지혜를 얻고있는 중입니다.
지난 학기 단테의 수업은 어땠나요? 수학이라는 과목에 대해서도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요.
아톰: 개인적인 얘기인데, 고등학교 때 수학 선생님과 사이가 안 좋았어요. 덕분에 수학에 대한 애정이 사라져 버렸죠. 일방적으로 수업을 듣고 문제 풀이만 해야 하니깐 왜 배워야 할지 납득이 안 됐거든요.
무우: 저는 대안학교를 4년째 다니고 있어요. 2년 전에 다녔던 대안학교에선 일반 학교와 똑같이 수학 수업을 진행했습니다. 그땐 수학 과목을 회피하고 싶었죠. 문제를 푸는 것에만 집중해야 했거든요. 게다가 사람들이 전부 다 보고 있는 칠판 앞에서 문제를 풀어야 할 때마다 수학 못하는 사람으로 낙인찍힐까봐 두려웠어요.
두 분 다 수학 과목에 원래 자신이 없었나요?
무우: 네.🤣 초등학교 때부터 너무 못해서 늘 자신 없는 과목 중 하나였어요.
아톰: 저는 고등학교를 다니다가 거캠을 오게 됐는데, 학교에선 시험만을 위해서 수학을 가르치잖아요. 누군가를 이겨야 하는 경쟁만 존재하는 상태에서 수학을 배우다 보니깐 아무런 동기가 안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굳이 노력을 하지 않았던 과목이었어요.
2주 전에 단테와 인터뷰를 했어요. 인터뷰 중에 단테의 교육 철학을 들었는데, 직접 부딪쳐서 경험하는 것을 강조했어요. 단테와 수업을 함께하면서 그런 경험을 많이 할 수 있었나요?
무우: 그럼요. 통계와 관련된 수업을 들었을 때 저희가 설문조사를 직접 만들어서 학생 대상으로 조사했어요(무우는 위의 사진과 같이 구글독스를 통해 Z세대의 은행 이용 통계를 조사했습니다. 통계 포스터를 보고 싶다면 아래 '인터뷰 전문 읽기'에서 확인가능합니다). 설문 조사를 어떻게 할지, 질문은 어떤 방식으로 배치해야 할지, 효과적인 질문은 무엇일지 스스로 고민하고 판단해야 했어요. 또 마지막 과제로 직접 통계 자료 포스터를 만드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 과정 속에서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어떤 문제가 있을지 스스로 사전조사를 해야했죠. 모든 문제를 혼자 해결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었지만, 결과물을 보면 굉장히 뿌듯하고 재밌는 활동으로 기억에 남아있어요.
아톰: 저도 마찬가지에요. 지난 수업 중에 정치와 관련된 뉴스 3개를 단테가 제시했어요. 그 중 가짜 뉴스가 무엇인지 직접 찾아보라고 했는데 단순하게 내용만 본다고 해서 알 수 있는 게 아니더라구요. 어떤 여론조사 기관을 통해서 조사를 했고, 통계 해석에 오류는 없었는지 일일이 찾아봐야 했어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잘못 해석된 통계를 찾게 됐고 직접 부딪힐 수 있었던 기회를 가졌던 것 같습니다.
지난 학기 주제와 관련해서 질문을 드리고 싶어요. 사실 수학은 정치와 접목되기 힘든 과목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고 있잖아요. 두 사람도 그런 생각을 가지진 않았나요?
무우: 제가 그런 생각이 강했어요. 처음에 정치와 선거라는 대주제로 수업을 한다고 했을 때 다른 과목은 예측 가능했어요. 그런데 수학은 전혀 예상이 안되는 거예요. 과연 수학과 정치가 연관되는 게 있을까? 라는 생각이 강했기 때문이에요. 단테와 수업을 들으면서 제 생각이 엄청 편협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정치의 모든 영역에 통계가 들어가지 않는 분야가 없었어요. 그리고 통계는 수학의 중요한 한 분야였구요. 직접 정치적 통계를 찾고, 그래프를 만들면서 ‘정치와 수학이 이렇게 밀접할 수 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그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사례가 있었을까요? 👀
무우: 지난 학기에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었어요. 단테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알려줬는데, 굉장히 복잡한 수식으로 투표 결과가 산출되는 거예요. 처음에는 선거 제도에 왜 저런 수식이 들어가는지 의문 투성이였어요. 그러다가 왜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탄생했는지, 어떤 방식으로 국회의원을 선출하는지 설명을 듣고나서야 비로소 수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어요. 아직도 완벽하게 수식을 이해하진 못했지만, 어떤 방식으로 계산이 이뤄지는지 이해할 수 있어서 인상 깊었던 것 같아요.
아톰: 저는 통계 하나로 정치적 사안이 첨예하게 갈릴 수 있다는 걸 많이 느꼈어요. 똑같은 통계를 가지고 정치적으로 전혀 다른 해석을 하는 언론 기사를 많이 접할 수 있었습니다. 하나의 통계이지만 언론, 정치인들이 보여주고 싶은 것만을 위해서 입맛대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됐죠. 그 전에는 통계, 수치에 대해서 보이는대로 믿기만 했거든요.
두 분은 단테의 수업 이후에 일상생활에서 통계, 평균의 함정을 많이 접하거나 느낄 수 있었나요? 혹은 각자의 생각이 변화한 부분들이 있을까요? 🧑🏫
무우: 솔직히 얘기하면 통계, 평균의 함정에 관한 수업을 이해하는 게 조금 어려웠어요. 원래는 통계를 있는 그대로 믿었거든요. 단테 수업을 듣고 나서 통계를 어떻게 해석하냐에 따라서 다른 문제 인식을 가질 수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문제는 그 이후로 통계를 단순하게 바라보기 어려워졌어요. 이 통계는 진실일까? 아니면 거짓일까? 그리고 내가 진실이라고 판단을 내린 통계도 거짓이지는 않을까?와 같은 혼란이 제 머릿속에 가득했어요. 통계의 함정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숫자를 바라보는 힘을 기르는 건 좋았지만, 정확하게 통계의 함정을 파악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훈련은 더 필요한 것 같아요.
아톰: 저는 언론 기사를 접할 때 무조건 내용을 믿지 않는 버릇이 생겼어요. 언제든 기자들이 자기 입맛대로 해석을 바꿀 수 있잖아요. 단테 수업을 통해서 그런 사례를 정말 많이 접했거든요. 언론에서 알려주는 통계를 곧바로 믿지 않는 습관이 생겼는데, 저는 좋은 습관이 생겼다고 생각해요. 언론과 뉴스에 의해서 휘둘리고 싶지 않거든요. 실제 진실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싶은데 그런 힘을 가지게 된 것 같아요.
📌 요즘 SNS에서 청소년 어휘력에 관련한 밈을 본적 있으신가요? 어휘력 문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심각하다고 합니다. 거캠의 윗인트 팀은 자신들도 공감하고 있는 어휘력 문제를 해결하고자 '어휘력 향상 보드게임'을 제작중에 있어요!! 윗인트 팀의 어휘력 문제해결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아래 '보러가기'를 클릭해주세요!!
사는데 꼭 필요한 스킬을 얻었어요 - 유해원 [네오]
contact@gschool.kr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116, 4층
수신거부 Unsubscribe